본문 바로가기
Study/Frontend_study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3일차 미션 (2월 13일) : 프론트엔드개발 강의 후기

by ramiiiiii 2024. 2. 13.

오늘의 목표

ch.08 끝까지 들어보자아!!

 

우당탕탕

오늘은 감기에 회사까지 출근하니까 몸이 너무 힘드네

그래도 회사 갔다오니까 시간이 너무 빠르게 간다아

후다닥 강의를 들어봅시다요

-

14.배경 

15.16.17 배치

 

기본적으로 css에서는 대부분의 시각적인 눈에 보이는 것들을 다룬다.

아래는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내용들이다.

 

배경 

background

-

background-color

배경 관련 CSS 속성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마도 배경색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background-color일 거다.

기본값은 transparent, 즉 투명이며 색상명이나 색상 코드를 사용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배경색은 웹 접근성(accessibility)을 준수하기 위해서 글자색과의 명암비를 고려해서 결정을 하는데요. 시력이 안 좋으신 분들도 텍스트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함

또한 배경 이미지를 사용하더라도 클라이언트에서 이미지를 로딩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여 가급적 배경색도 지정해주기를 권장!!

 

background-image

두 번째로 살펴볼 속성은 베경 이미지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background-image

기본값은 none, 즉 없음이며 이미지의 위치를 상대 경로 또는 절대 경로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음

속성값을 명시할 때는 url() 함수를 사용하며, 경로에 공백나올 것을 대비하여 쌍따옴표로 묶어주는 것이 안전함

 

background-repeat

background-repeat 속성은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에 꽉 차지 않는 경우 이미지를 반복할 방식을 결정한다.

기본값은 repeat인데 배경 이미지를 가로와 세로 모든 방향으로 반복을 해줌

repeat-x는 가로 방향으로만 repeat-y는 세로 방향으로만 배경 이미지를 반복함

no-repeat는 반복을 원하지 않을 때 사용함

 

background-position

background-position 속성은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에서 어디에 위치할지를 결정한다.

이 속성은 background-repeat 속성을 no-repeat로 설정해놓고 사용하는 게 일반적

배경 이미지가 반복된다면 위치를 지정하는 게 큰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기본값은 배경 이미지를 좌측 상단에 위치시켜 주는 0% 0%이며 절대/상대 단위를 사용하여 좌측 상단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야하는지를 지정할 수 있음

보통 top, bottom, left, right, center와 같은 방향 키워드가 많이 사용됨

 

background-size

background-size 속성은 배경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한다.

기본값은 auto인데 배경 이미지의 실제 크기를 사용

절대/상대 단위를 사용해서 특정값을 지정해줄 수 있으며, 주어진 영역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키워드도 있음

cover 키워드는 배경 이미지가 짤리더라도 주어진 영역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이미지를 크기를 맞춰준다.

contain 키워드는 빈 공간이 생기더라도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에 안에 모두 들어올 수 있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맞춰준다.

 

background-attachment 

background-attachment 속성은 스크롤 시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과 함께 따라갈지 그대로 있을지를 결정한다.

scroll 키워드를 사용하면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과 함께 스크롤되고, fixed 키워드를 사용하면 배경 이미지가 주어진 영역이 스크롤되더라도 고정된다.

 

 

깨알**단축어로 보통 bgc 를 입력하면 background-color 가 나옴ㅎㅎ

 

배치

CSS에서 position 속성은 HTML 문서 상에서 요소가 배치되는 방식을 결정한다.

많은 경우, position 속성은 요소의 정확한 위치 지정을 위해서 top, left, bottom, right 속성과 함께 사용됨

 

1) position: static

<main>
  <div>첫 번째 요소</div>
  <div>두 번째 요소</div>
  <div>세 번째 요소</div>
</main>

2) position: relative

div:nth-of-type(2) {
  position: relative;  top: 28px;  left: 48px;  background: cyan;
  opacity: 0.8;
}

3) position: absolute

main {
  position: relative;  width: 300px;
  height: 400px;
  background: tomato;
}

4) position: fixed

div:nth-of-type(2) {
  position: fixed;  bottom: 8px;  right: 16px;  background: cyan;
  opacity: 0.8;
}

5) position: sticky

ex.

main {
  width: 300px;
  height: 120px;  overflow: auto;  background: tomato;
}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패스트캠퍼스 #직장인자기계발 #직장인공부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오공완 #프론트엔드

 

https://bit.ly/48sS29N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