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code에서 파일 수정을 하고 나서, 터미널을 사용해 깃허브에 수정사항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
파일을 수정한 후에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Git을 사용하여 버전을 관리하고자 할 때,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이 단계는 파일을 추가하고, 커밋하고, GitHub 또는 다른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1. 변경사항 확인
수정된 파일이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status
이 명령은 현재 변경된 파일들(추가, 수정, 삭제된 파일)을 보여줍니다.
2. 파일 스테이징
변경한 파일을 Git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it add <파일명>
여러 파일을 한 번에 추가하려면, 파일명 대신 .을 사용하여 모든 변경된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git add .
3. 변경사항 커밋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들을 커밋(변경 사항 확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여기서 "커밋 메시지"는 이번 변경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기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헤더 스타일 업데이트"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원격 저장소에 푸시
로컬에서 커밋한 변경사항을 원격 저장소(예: GitHub)에 업로드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it push
처음 원격 저장소에 푸시할 때는 원격 저장소와 브랜치를 명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git push -u origin main
여기서 origin은 원격 저장소의 기본 이름이고, main은 대부분의 경우 기본 브랜치의 이름입니다. 이전에 master라는 이름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요약
파일 수정 후 저장 과정을 Git을 사용하여 관리하는 과정은 status, add, commit, push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일의 변경사항을 안전하게 버전 관리 시스템에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개발자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Study > Frontend_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props(속성) 컴포넌트 재사용, 대체 문법 (1) | 2024.06.07 |
---|---|
[깃허브] (이미 깃허브에 저장된) 파일 또 수정하고 저장할 때, 생긴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 (0) | 2024.05.10 |
[깃허브] HTML 파일 기본 세팅(Index.html / style.css / main.js) (0) | 2024.05.10 |
② swiper_slide 기본 슬라이드 (+내비게이션버튼 / 스크롤바 ) (0) | 2024.05.09 |
① swiper_slide 기본 슬라이드 (+내비게이션버튼) (0) | 2024.05.09 |